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일 년 중 두 번밖에 볼 수 없다는 운현궁 고종-명성후 가례

여행스토리/국내

by 하얀잉크 2013. 9. 26. 07:30

본문

운현궁과 흥선대원군 그리고 고종

 

서울특별시 종로구 운니동에 위치한 운현궁(사적 제257호).

조선왕조 비운의 임금 고종 황제가 즉위하기 전 12세까지 살았던 궁이자 흥선대원군의 정치활동의 무대가 되었던 유서 깊은 곳이다. 때때로 운현궁을 5대 궁궐의 하나로 착각하는 분들이 있는데 그만큼 운현궁의 위세가 대단했다는 방증일 것이다.

 

사실 흥선대원군의 사저인 것이 운현궁으로 불리게 된 것은 고종의 즉위와 함께 흥선군이 대원군으로 올라서면서 부터이다. 실제 왕이 기거했던 궁은 아니며 5대궁에는 경희궁이 포함된다.

 


 

 

운현궁은 고종과 명성황후가 가례를 올린 곳으로도 유명한데 흥선대원군의 후손이 대대로 관리했던 운현궁이 재정을 이유로 서울시로 관리가 넘어가서면 일 년에 두 번 고종 명성후 가례 재현 행사가 열리고 있다.

 

 

『고종·명성후 가례』 재현은

 

고종 즉위 3년(1866년)되는 해에 간택에 의해 왕비로 책봉된 명성후 민씨가 별궁인 운현궁 노락당에 거처하면서 궁중법도와 가례절차를 교육받고, 그해 3월 21일 거행된 15세의 고종과 16세의 명성후 민씨의 국혼례를 재현하는 행사이다.

 

 

재현 행사는 연중 2회 4월과 9월에 나뉘어 거행되는데 올해는 추석 연휴인 9월 21일에 있었다. 일반인에게 무료로 개방되기 때문에 재현되는 가례를 보는 것만으로도 150년 전 시간 속 여행을 할 수 있다.

 

 

 

 

 

운현궁 내부의 노락당, 이로당, 노안당의 현판은 추사 김정희의 글씨를 모아 만들었다고 전해지는데 실제 현판은 서울역사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고 한다. 운현궁의 현판은 서울시의 의뢰로 제작된 서예가 권창윤 선생님의 작품이다.

 

 

 

 

운현궁 고종-명성후 가례 현장스케치

 

그럼, 두 시간 동안 진행되었던 가례 현장으로 가보자.

 

 

 

 

 

  

 

가례 시간이 다가오자 운현궁을 둘러싸고 깃발을 든 행렬이 행진을 한다. 아마 별다른 미디어가 없던 시절 큰 행사를 알리기에 나팔수와 긴 행렬만큼 확실한 것은 없었을 것이다. 정확한 의미는 모를 뿐 추측할 뿐이다.

 

 

 

 

안에서는 가무가 이어진다. 가무를 즐겼던 민족의 특성 상 기쁜 날 빠질 수 없는 모양이다.


 

 

 

대기실의 모습도 한 컷

처음에 명성황후인 줄 알고 연신 셔터를 눌렀으나 가례의 해설을 해주시는 분이었다. ^^;

 

 

 

 

 

고종 임금의 부친 흥선대원군이 먼저 입장을 하고 앞에 서서 명성황후를 맞을 준비를 한다.

명성황후 민씨는 대원군의 부인 민씨의 천거로 선정되었다고 한다.

 

 

 

 

 

 

드디어 꽃가마가 들어서고 그 안에는 왕비로 책봉된 민씨가 타고 있다. 향년 16세.

명성황후로 거듭나는 순간이다. 예를 올리고 의자에 앉아 고종을 기다린다.(사실 상당히 절차가 복잡해 상당한 시간이 소요됐다)

 

 

 

 

 

 

드디어 고종이 모습을 나타냈다. 즉위 3년이니 당시 15세 나이이다.

(이 역시 절차가 복잡다난하다. 조선 후기였음에도 예를 중요 시 하는 유교의 영향이었으리라)

 

 

 

 

 

 

드디어 고종과 명성후가 한 자리에 마주하니 대원군이 큰 절을 올린다.

아비된 마음보다 임금을 섬기는 것이 더욱 앞섰기 때문일 것이다.

 

 

 

 

 

일 년에 두 번밖에 볼 수 없느 광경이니

가례 재현이 진행된 운현궁은 많은 인파로 가득 찼다.

 

 

 

 

 

내 아이들은 무엇을 느꼈을까? 아직 어리긴 하지만 신기한 듯 똘망똘망한 눈빛으로 바라봤다.

성장하는 아이들에게도 좋은 교육 기회이지만 어른들에게도 역사를 거슬러 공부할 수 있는 더할 나위 없는 기회이다.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